인스타그램 스토리 리그램,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!
목차
- 인스타그램 스토리 리그램이란?
- 가장 쉽고 빠른 스토리 리그램 방법: 공유하기 기능 활용
- 내 스토리에 다른 사람 스토리 리그램하기
- 다른 사람 게시물을 내 스토리에 리그램하기
- 내 스토리에 다른 사람 스토리를 리그램할 수 없는 경우
- 공유 설정 확인하기
- 리그램 앱 활용 (대안적인 방법)
- 스토리 리그램 시 주의사항
- 저작권 및 초상권 존중
- 원본 출처 명확히 밝히기
- 상업적 이용 시 신중하게
1. 인스타그램 스토리 리그램이란?
인스타그램 스토리 리그램은 다른 사용자의 인스타그램 스토리나 게시물을 내 스토리에 다시 공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쉽게 말해, 마음에 드는 콘텐츠를 내 팔로워들에게도 보여주고 싶을 때 사용하는 기능이죠. 텍스트, 이미지, 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리그램할 수 있으며, 이는 콘텐츠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특히, 친구가 올린 멋진 사진이나 유익한 정보를 내 스토리에 공유하여 팔로워들과 소통하거나, 특정 이벤트나 캠페인을 홍보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. 인스타그램은 사용자 간의 연결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, 리그램 기능은 이러한 연결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. 개인 사용자뿐만 아니라, 브랜드나 기업에서도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바이럴 마케팅을 진행하거나,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데 리그램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.
2. 가장 쉽고 빠른 스토리 리그램 방법: 공유하기 기능 활용
인스타그램 스토리 리그램의 가장 기본적이고 쉬운 방법은 바로 인스타그램 자체의 공유하기(Share) 기능을 활용하는 것입니다. 이 기능은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몇 번의 터치만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내 스토리에 바로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,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습니다.
내 스토리에 다른 사람 스토리 리그램하기
친구 또는 팔로우하는 사람이 올린 스토리가 마음에 들어 내 스토리에 공유하고 싶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.
- 공유하고 싶은 스토리를 시청합니다. 상대방의 스토리를 누르면 전체 화면으로 스토리가 재생됩니다.
- 화면 하단에 있는 '종이비행기' 모양의 아이콘을 찾습니다. 이 아이콘은 '메시지 보내기' 또는 '공유하기' 아이콘입니다.
- 종이비행기 아이콘을 탭합니다. 탭하면 여러 가지 공유 옵션이 나타납니다.
- '내 스토리에 추가' 또는 '내 스토리에 이 게시물 추가' 옵션을 선택합니다. 이 옵션은 가장 상단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스토리 편집 화면으로 전환됩니다. 이 화면에서 리그램하는 스토리에 스티커, 텍스트, 그림 등을 추가하여 나만의 개성을 더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스토리를 보는 팔로워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추가적인 메시지나 정보를 기입할 수 있습니다.
- 편집이 완료되면 '내 스토리' 또는 '스토리' 버튼을 눌러 공유를 완료합니다. 이제 리그램한 스토리가 내 팔로워들에게 보이게 됩니다.
중요: 상대방이 스토리 공유를 허용하지 않은 경우, '내 스토리에 추가' 옵션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이 부분은 다음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.
다른 사람 게시물을 내 스토리에 리그램하기
스토리뿐만 아니라, 다른 사람이 올린 일반 피드 게시물(사진 또는 영상)을 내 스토리에 공유하고 싶을 때도 동일한 공유하기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- 공유하고 싶은 게시물을 찾습니다. 인스타그램 피드를 스크롤하다가 마음에 드는 게시물을 발견하면 해당 게시물을 탭하여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- 게시물 아래에 있는 '종이비행기' 모양의 아이콘을 찾습니다. 스토리 공유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보내기/공유하기 아이콘입니다.
- 종이비행기 아이콘을 탭합니다.
- '내 스토리에 이 게시물 추가' 옵션을 선택합니다. 이 옵션은 일반적으로 상단에 위치합니다.
- 스토리 편집 화면으로 전환됩니다. 게시물 미리보기가 스토리 화면에 나타나며, 크기 조절, 회전 등 기본적인 편집이 가능합니다. 이 게시물 위에 GIF, 스티커, 텍스트, 해시태그, 위치 태그 등을 추가하여 꾸밀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"너무 예쁜 곳!", "가보고 싶다!" 와 같은 문구를 추가하여 내 생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편집이 완료되면 '내 스토리' 또는 '스토리' 버튼을 눌러 공유를 완료합니다.
이렇게 공유된 게시물은 스토리 형식으로 24시간 동안 노출되며, 스토리를 보는 팔로워들은 해당 게시물을 탭하여 원본 게시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원본 콘텐츠의 노출을 증대시키는 데도 효과적입니다.
3. 내 스토리에 다른 사람 스토리를 리그램할 수 없는 경우
위에서 설명한 기본 공유하기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. 이는 보통 몇 가지 이유 때문이며, 대부분 간단한 설정 변경으로 해결되거나, 대안적인 방법을 통해 리그램이 가능합니다.
공유 설정 확인하기
다른 사람의 스토리를 내 스토리에 리그램할 수 없는 가장 흔한 이유는 원본 스토리 소유자가 스토리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 인스타그램은 사용자 개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며, 스토리 공유 여부를 본인이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.
- 원인: 상대방이 자신의 스토리 공유 설정을 '스토리에 다시 게시 허용' 옵션을 비활성화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해결 방법:
- 개인 계정의 경우: 상대방이 스토리를 비공개 계정으로 설정했거나, 스토리 공유 설정을 비활성화했다면 직접 리그램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. 이 경우, 상대방에게 직접 메시지(DM)를 보내 리그램 허용 여부를 문의하거나, 스토리에 다시 게시하도록 요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- 공개 계정의 경우: 일반적으로 공개 계정의 스토리는 공유가 허용되어 있지만, 특정 스토리만 공유를 막아둔 경우도 있습니다. 역시 상대방의 공유 설정을 확인하거나 DM으로 문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.
내 스토리 공유 설정 확인하기:
만약 다른 사람이 내 스토리를 리그램할 수 없다고 한다면, 내 계정의 스토리 공유 설정을 확인해 보세요.
- 인스타그램 프로필로 이동합니다.
- 오른쪽 상단의 '더보기(줄 3개)' 아이콘을 탭합니다.
- '설정 및 개인정보'로 이동합니다.
- '공유 및 리믹스'를 탭합니다.
- '스토리에 다시 게시 허용'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 이 옵션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, 다른 사용자는 내 스토리를 자신의 스토리에 공유할 수 없습니다.
리그램 앱 활용 (대안적인 방법)
인스타그램 자체 공유 기능이 작동하지 않거나, 원본 스토리를 이미지/동영상 파일로 저장한 후 편집하여 리그램하고 싶을 때 리그램 앱(Re-gram App)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이러한 앱은 인스타그램의 공식 앱이 아니므로,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.
일반적인 리그램 앱 사용 과정 (앱마다 다를 수 있음):
- 리그램 앱 다운로드 및 설치: 앱 스토어(App Store)나 구글 플레이 스토어(Google Play Store)에서 '인스타그램 리그램', '스토리 리포스트' 등으로 검색하여 평점과 리뷰가 좋은 앱을 선택하여 설치합니다. (예: Repost for Instagram, Story Saver 등)
- 인스타그램 스토리 링크 복사: 리그램하고 싶은 스토리를 인스타그램에서 시청합니다. 스토리 우측 상단의 '더보기(점 3개)' 아이콘을 탭하고 '링크 복사'를 선택합니다.
- 리그램 앱에 링크 붙여넣기: 다운로드한 리그램 앱을 실행하고, 복사한 스토리 링크를 앱 내의 입력창에 붙여넣습니다.
- 스토리 다운로드 및 편집: 앱이 링크를 분석하여 스토리를 다운로드합니다. 이 과정에서 이미지나 영상 파일을 저장하거나, 앱 내에서 간단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.
- 인스타그램으로 공유: 다운로드하거나 편집한 스토리를 다시 인스타그램으로 가져와 '내 스토리'에 직접 업로드합니다. 이때, 기존 스토리를 업로드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텍스트, 스티커 등을 추가하여 편집할 수 있습니다.
주의사항:
- 보안 및 개인 정보: 일부 리그램 앱은 로그인 정보를 요구할 수 있으므로, 보안에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. 신뢰할 수 있는 앱만 사용하고, 의심스러운 권한을 요구하는 앱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
- 워터마크: 많은 리그램 앱이 무료 버전에서 워터마크를 남깁니다. 워터마크를 제거하려면 유료 결제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
- 인스타그램 정책: 인스타그램의 공식 정책은 이러한 서드파티 앱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. 앱 사용으로 인해 계정에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,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.
4. 스토리 리그램 시 주의사항
인스타그램 스토리 리그램은 콘텐츠 확산에 매우 효과적인 기능이지만, 몇 가지 주의사항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. 이는 다른 사용자의 권리를 존중하고, 건전한 인스타그램 문화를 조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.
저작권 및 초상권 존중
- 저작권: 다른 사람이 만든 콘텐츠(사진, 영상, 텍스트 등)에는 저작권이 있습니다. 원작자의 허락 없이 상업적인 목적으로 리그램하거나, 원본을 훼손하여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. 개인적인 용도로 공유하는 경우에도 되도록 원작자의 허락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초상권: 특정 인물이 명확하게 식별되는 사진이나 영상에는 해당 인물의 초상권이 있습니다. 특히 비공개 계정에서 공유된 콘텐츠나, 개인적인 모임의 사진 등을 리그램할 때는 반드시 사진 속 인물의 동의를 구해야 합니다. 동의 없이 리그램하여 문제가 발생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도 있습니다.
- 해결책: 가장 좋은 방법은 리그램하기 전에 원본 콘텐츠 소유자에게 직접 메시지(DM)를 보내 리그램 허락을 구하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, "안녕하세요! 올려주신 스토리가 너무 좋아서 제 스토리에 공유하고 싶은데, 괜찮을까요?" 와 같이 정중하게 문의할 수 있습니다.
원본 출처 명확히 밝히기
인스타그램 스토리 리그램 시 인스타그램 자체 공유 기능을 사용하면 원본 계정의 태그가 자동으로 포함되어 출처가 명확히 표시됩니다. 하지만 리그램 앱 등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저장한 후 다시 업로드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원본 출처를 명확하게 밝혀야 합니다.
- 방법:
- @멘션: 스토리 내에 원본 계정을 @멘션하여 태그합니다. (예: "📸 @original_account 님 스토리에서")
- 텍스트 추가: 스토리 하단이나 적절한 위치에 "출처: @original_account" 와 같이 텍스트를 추가합니다.
- 해시태그: 관련 해시태그와 함께 원본 계정의 태그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.
- 중요성: 출처를 명확히 밝히는 것은 원작자에 대한 예의이자, 팔로워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입니다. 또한, 이는 오해를 방지하고 분쟁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. 출처를 밝히지 않은 무단 리그램은 저작권 침해로 간주될 수 있으며, 계정 제재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.
상업적 이용 시 신중하게
개인적인 용도로 친구의 스토리를 공유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, 리그램한 스토리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거나 제품/서비스를 홍보하는 등 상업적인 목적으로 이용할 때는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.
- 광고 및 프로모션: 타인의 콘텐츠를 사용하여 자신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는 경우, 원작자의 명시적인 동의와 함께 광고 여부를 명확히 표시해야 합니다. (예: #광고, #협찬 등) 이는 공정거래위원회 등의 관련 규정을 준수하는 것입니다.
- 브랜드 콘텐츠: 특정 브랜드의 콘텐츠를 리그램하여 해당 브랜드의 이미지를 손상시키거나,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 경우 법적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해결책: 상업적 목적으로 리그램을 고려하고 있다면, 반드시 원작자와 정식으로 협의하여 사용 범위, 기간, 대가 등을 명확히 한 계약을 맺는 것이 안전합니다. 무단 상업적 이용은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스토리 리그램은 인스타그램을 더욱 풍성하게 즐길 수 있는 좋은 기능이지만, 항상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책임감 있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올바른 리그램 문화를 통해 모두가 즐거운 인스타그램 활동을 이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.
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.
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삼성 노트북 와이파이 잡는법: 쉽고 빠른 연결 가이드 (0) | 2025.05.26 |
---|---|
인스턴트팟 듀오 60, 쉽고 빠르게 마스터하기 (0) | 2025.05.25 |
인스타그램 팔로잉 숨기기: 쉽고 빠른 방법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5.24 |
인스타그램 오류, 답답함을 날려버릴 쉽고 빠른 신고 방법 (0) | 2025.05.23 |
인스타그램 부계정, 쉽고 빠르게 만드는 방법 (0) | 2025.05.23 |